아이가 밤중에 스프링처럼 서요. 어떤 전략이 좋을까요?

아이가 밤중에 스프링처럼 서요. 어떤 전략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칭권을 구입 후 질문해주신 민규 어머님의 질문에 대해 제가 답변한 부분을 함께 살펴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1. 서기 스킬 습득 후 밤잠 입면 시 반복적으로 서서 걸어 다니거나 우는 경우에 대한 대처 방법

우선은 밤잠 들어가는 시간은 저녁 7시 5분까지 마지노선을 정하고 책을 읽거나 마사지를 해주면서 민규가 피곤한지 살피고 눕히고 나오는데요. 계속해서 서서 울고 잠을 안 자서 밤잠 들어가는 시간이 7시 20분PM까지 늦춰진 경우가 생겼습니다. 졸려 보이면 눕히는데 스프링처럼 일어서네요…. 정말 자겠다 싶을 때 눕히고 나와서 캠으로 보고 있으면 스스로 입면하고 있으나 다시 일어서는 경우는 들어가서 눕혀줘야 뒤척이다 잡니다.

A1. 아이가 잠자리에서 일어섰을 때 다시 눕혀주는 것은 사실상 ‘게임화’될 수 있기에 조심해서 접근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일어서기만 하면 다시 부모님을 call 할 수 있고, 부모님께서 이때 다시 아이 앞에 나타나 주는 것만으로도 아이에게는 큰 보상이 되거든요. 아이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사람의 얼굴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계속해서 일어서는 그 행위를 지속할 수가 있는 거예요.
그래서, 사실은 아이가 일어서기 스킬을 터득한 상황이고 서 있는 자세에서 아이가 다시 앉는 것을 할 수 있고, 다시 앉은 자세에서 눕는 것 까지 할 수 있는 발달 단계라면 말이지요. (해당 스킬을 모두 터득한 상황의 아이라고 판단된다면) 아이에게 15분~20분 정도는 스스로 서 있는 자세에서 잠자리로 다시금 누울 수 있도록 기회와 시간을 충분히 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즉 한번 일어났다고 해서 다시 눕혀주지 말고, 15~20분 정도는 꼭 시간을 주기)

Q2. 한밤 중 서서 우는 경우 대처 방법

A2. 이때 아이의 잠자리에 들어가게 된다면 전략을 이렇게 가져가 보세요.

똑게육아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모든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앉고 서더니 밤중에도 이러며 잠을 자지 않아요!

아이가 앉고 서더니 밤중에도 이러며 잠을 자지 않아요!

아기가 자꾸 일어서요! 앉아요! 그리고 다시 잠을 자지 않아요~!

아기가 자는 모습을 캠으로 모니터하고 있는데 아기가 유아용 침대에 앉아 있거나 서 있어요… 그런데, 자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번에 겪게 되는 ‘일어서기, 앉기’같은 경우도 우리의 육아 여정에 꽤나 큰 사안이 됩니다. 하지만 다 지나가는 과정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가 스스로 앉고, 일어서는 능력은 큰 발달 이정표에 해당되지요. 물론 이 발달로 인해 일정 기간 동안 아이의 수면은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아이가 아기 침대에서 이 새로운 기술을 연습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지금 여러분이 겪고 있는 새로운 이 작은 게임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지가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왜 아이들은 수면 중에 이 기술을 연습하려 할까요?

아이들이 유아용 침대에 서있거나 앉아있을 때의 패턴을 보면 가끔 차가 어떤 구석에 박혀있는데 어떻게 빠져나올 지 모르는 것처럼 보이는, 그런 고장난 상태랄까요? 서 있거나 앉아있는 자세에서 다시 자세를 추스리고 잠자리에 눕는 방법을 잊어버렸나? 싶은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 아이들은 낮 동안에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자세를 취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와 마찬가지로, 서 있거나 앉아있는 자세 중 하나를 벗어나 누워 있는 자세로 움직이는 연습을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해요.

어른들이 꿈을 꿀 때는 우리가 우리의 움직임을 통제하고 제한할 수 있지만, 아기들은 아직 그러한 스킬들을 마스터하지 못한 상태랍니다. 그래서 만약 아기가 새로운 기술을 연습하는 꿈을 꾼다면, 아이는 자기 자신을 무의식적으로 수면 중에 움직이게 하고 그 새로 배운 스킬들인 앉기, 서기 등을 연습하게 되는 것이에요. 이러한 부분들은 아이에게 혼란스럽고 불편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아이들은 아직은 그 움직임을 스스로 컨트롤하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앉아있거나 서있는 모습을 깨닫고 발견하게 되면 혼란스러운 것이죠.

우리는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요?

CASE1) 아이가 앉아있거나 서있지만 조용하거나/행복하거나/뭐라고 이야기하고 있을 때

CASE2) 아이가 앉아있거나 서있어요. & 울고 있는 경우

CASE3) 아이가 앉아 있거나 서있는 자세에서 잠이 든 경우

낮 동안에는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이 증상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나요?

똑게육아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모든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8개월~9개월 아기의 스케줄 코칭, 똑게육아 스케줄 가이드

8개월~9개월 아기의 스케줄 코칭, 똑게육아 스케줄 가이드

8-9개월 아기 스케줄 검토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8개월 중반의 똑게 멤버십 가족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 아티클로 함께 보고 스터디하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Q. 8개월 20일 민정이의 평균적인 스케줄은 아래와 같습니다.

7:00~7:30 기상
8:00 수유1
8:30 이유식1 (핑거푸드)
10:00~11:00 낮잠1 (요즘 한시간 정도 자고 있습니다)
11:10 이유식2 + 중간 간식
13:00 수유2
13:30~16:00 낮잠2
16:00 수유3
16:40 이유식3 + 간식
18:40 수유4
19:10~19:30 취침

여러분, 참고로 똑게 멤버십 가족분들의 경우 빌리지를 이용하시는 분들께서는 앞으로 스케줄을 적어주실 때 아래에 제가 적어둔 체계로 적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표에 알아보시기 쉽게 적어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똑게육아 스케줄 적는 방법

Q. 낮잠 욕구가 많은 편이라 그런지 낮잠①을 한 시간씩 자더라도 두 번째 낮잠(낮잠②)도 2시간 이상 쭉 자고 있는 요즘입니다.

A. 현재 밤중깸도 없이 밤잠을 잘 자고 있고 낮잠도 잘 자고 있으며 먹는 것도 잘 먹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7-10개월 전반적인 가이드

10-14개월 전반적인 가이드

똑게육아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모든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종달새, 아침에 아이가 일찍 일어나는 원인 분석 & 대처법

종달새, 아침에 아이가 일찍 일어나는 원인 분석 & 대처법

종달새 현상은 무엇인가요?

종달새 현상은 아이가 공식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아침 기상시각 보다 일찍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오후 7시 취침 오전 7시 기상의 스케줄로 가정했을 때 새벽 4-5시 경에 깨어나는 아이들을 말합니다. 아이의 개월수에 따라 이끌어온 스케줄에 따라 때에 따라서는 새벽 6시 혹은 새벽 6시 30분 경부터 아침 시작으로 봐도 괜찮은 시점과 상황들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세밀하게 컨설팅이 들어가보아야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여러분들이 제가 이때까지 진행했던 컨설팅 사례들을 공부하신다면 충분히 스스로도 판단이 가능하고 종달새 현상을 극복하는 것까지 가능합니다. 오늘은 종달새 현상의 원인과 방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달새는 힘들다.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의 아이가 요즘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있나요? 어찌보면 이것만큼 또 우리 부모님과 양육자를 힘들게 하는 이슈도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아침에 일어나는 시각은 이 부모 JOB일터의 양육자분들께는 바로 ‘업무 시작 시간’ 이자 우리 일터의 ‘셔터를 올리는 시간’인데 말입니다. 이 하루 업무 시작 시간이 자꾸만 빨리 시작되면 업 종사자로서 굉장히 피로해지며 고민이 많이 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피로가 쌓여 삶 자체가 힘들어지고 아이에게도 우리의 상큼한 미소를 보내주기 힘들 거예요.

똑게육아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모든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종달새, 아침에 아이가 일찍 일어나는 원인 분석 & 대처법

종달새, 아침에 아이가 일찍 일어나는 원인 분석 & 대처법

종달새 : 왜 우리 아이가 아침 일찍 깰까요?

아이가 요즘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나요?  참, 이것만큼 또 우리 부모님을 힘들게 만드는 문제가 없지요.

아침 가상은 우리 양육자인 부모님들에게는 업무시작 시간, 셔터를 올리는 시간인데 말입니다.

이것이 자꾸만 빨리 시작되면, 분명히 고민되는 일이고

왜 아침의 이른 시각대가 아기에게 힘든 것일까요?

언제쯤 깨면 종달새 인가요?

왜 아침에 일찍 일어날까? 내가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해결방안들

원인 1)  햇빛 (새어들어오는 빛을 보세요)

원인 2)  밤잠이 들어가는 시각이 너무 늦지 않았는지 점검합니다.
원인 3)  낮잠1인 하루에 처음 발생하는 낮잠이 너무 빠르게 들어간다.
원인 4)  아기가 밤잠 들어갈 때 너무나 피곤한 상태이다.
원인 5)  낮잠을 너무 많이 자고 있는지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원인 6)  낮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경우
원인 7)  부모(양육자)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현상을 강화하고 있는 경우

원인 8)  아기가 배고프다.
원인 9)  잠연관이 문제였다. 수면교육이 잘 안되어 있는 아기

똑게육아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모든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